간호부
2022년 QI 활동
간호단위 | 과제명 |
---|---|
수술실 | 가납물품 시스템 개발 및 개선 |
응급의료센터 | 응급실 밖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이야기 |
별관중환자실, 본관중환자실, 응급중환자실 | QR코드를 통한 중환자실 의료기기 교육 프로세스 개선(CQI) |
진료부, 약제팀, 간호부(111, 112, 121병동) | 소통과 지적 협력을 통한 맞춤형 NST 효율 극대화 |
251, 252, 81, 82, 92병동, 신장센터 | Charge 간호사 입문을 위한 간호 업무 표준 매뉴얼 개발 |
내과계/외과계 진료과, 병동간호팀, 영양팀 | 적합한 환자식 제공을 위한 식사처방 프로세스 개선 (Better communication, Better nutrition service) |
51, 61, 62, 71, 72, 101, 102, 122, 261, 262병동 | 올바른 수술, 시술 표식을 통한 환자안전활동 |
중앙주사실, 수술낮병동, 심장내과(낮병동) | 심장내과 낮병동 동영상 교육을 활용한 업무의 효율성과 환자 만족도 증진활동 |
회복실 | 환자안전(Safety)을 넘어 안정(Stable) 그리고 만족(Satisfaction)-PCA투약 오류 ZERO (CQI) |
산부인과, 분만실 | 고위험임산부집중치료실 가동률 증진을 위한 개선활동 (CQI) |
<소화기병센터/td> | 안전환경조설을 위한 ‘안전플러스 클립동영상’ 제작, 활용 |
신상아중환자실 | 신생아중환자실 혈류 감염률 감소를 위한 활동 |
외래파트(간호) | 외래간호 휴먼터치 활동을 통한 고객만족도 향상 |
QI실, BTS, SM, 간호부안전위원회 | 수술/시술 환자안전 관련 FMEA(병원QI) |
2019년 QI 활동
간호단위 | 과제명 |
---|---|
본관ICU, 별관ICU, 응급ICU | 환자안전을 위한 간호업무 표준 매뉴얼 개발 |
외래간호과, 진료부 | [CQI] 안전의 첫걸음-정확한 외래환자 확인 수행 프로세스 개선 |
중앙공급실, 분만실, 신장센터, 232, 82병동, 종합검진센터, 전산정보팀 | [CQI] 효율적인 린넨 관리를 통한 비용절감과 업무표준화 |
71, 72, 101병동, 재활치료팀, 재활의학과 | 재활치료 환자 안전을 위한 정확한 의사소통 체계 개선 |
122병동, 외래간호과, 핵의학팀, 핵의학과 | 치료병실 환자안전을 위한 CP 개발 |
소화기병센터, 소화기내과 | FMEA 기법을 이용한 진정내시경 중 환자안전사고 예방 |
수술실, 진료부 | 의료진간 의사소통을 통한 수술 계수 표준화 활동 |
영양팀, 급식위탁업체(동원), 간호부(병동) | 직종 간 식사정보 공유 체계 개선을 통한 안전한 환자식 제공 |
권역응급의료센터, 응급의학과 | 불안제로 공감백배 프로젝트 |
영상의학팀, 영상의학과, 간호부(51,72,251), 의료정보팀 | CT 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업무 효율 및 만족도 증가 |
52, 91병동, 권역응급의료센터, 소아청소년과 외래 | 소아 정맥주사 관리 표준지침 적용을 통한 만족도 증진 |
92, 91, 102, 121, 122, 71병동, 성형외과 | [CQI] 욕창 발생 관리활동 |
진단검사의학팀, 진단검사의학과, 간호부 | [CQI] 간이혈당기 안전성 모니터링을 통한 환자안전 개선 |
회복실, 마취통증의학과 | 마취과 의료진의 환자안전을 위한 원활한 소통 |
마취통증의학과 회복실 | 마취 처치재료 처방 누락을 제로화 하자. |
신생아실, 신생아중환자실, 소아청소년과 | 간호 업무 표준화를 통한 간호사 역량 강화 |
진료지원팀, 간호부(병동) | EMR을 통한 검사 지침서 활용 |
간호부, 262, 261, 252, 112, 81, 61, 62병동 | 신규간호사의 성공적인 병동 정착 (사직률 감소활동) |
2018년 QI 활동
간호단위 | 과제명 |
---|---|
62, 81, 112, 252, 261, 262병동 | SBAR – 환자안전을 위한 간호사-의사간 협력적 의사소통 프로그램 개발 |
재활치료팀, 재활의학과, 101병동 | 재활의학과 환자 이송방법교육을 통한낙상발생률 감소 |
회복실 | 환자 안전을 위한 마취 의료기기 관리 |
소화기병센터, 52병동 | 소아진정내시경 안전강화 활동 : 더(The) 안전혁신 |
신생아중환자실, 소아청소년과, 감염관리팀 | NICU 감염예방을 위한 환경관리 개선활동 |
진단검사의학팀, 진단검사의학과, 간호팀 | 간이혈당기 안정성 모니터링을 통한환자안전 개선 |
본관ICU, 응급ICU, 감염관리팀, 감염관리의사 |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률 감소 활동 |
원무팀, 51, 61, 72, 82병동 | 고객서비스 및 업무역량 향상을 위한간호-원무 커뮤니케이션 활동 |
중앙공급실, 분만실, 신장센터, 232병동, 종합검진센터 | 효율적인 린넨관리를 위한 프로그램구축과 비용절감 |
영상의학과, 영상의학팀, 간호팀, 기획예산팀, 전산팀 | MRI 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업무 효율및 만족도 증가 |
수술실, 의공관리팀, 보험심사팀 | 수술실 업무 효율화를 위한 체계적인재고관리 시스템 구축 |
영양팀, 간호부 | 영양불량 환자의 영양중재 프로세스개선 |
진단검사의학팀, 진단검사의학과, 간호부 | [CQI] 간이혈당기 안전성 모니터링을 통한 환자안전 개선 |
권역응급의료센터, 응급의학과 | 권역응급의료센터 근무환경 개선과 관련된 간호사 초과근무시간 단축활동 |
의료정보팀, 외래간호 | [CQI]동의서 작성의 충실성 향상 |
별관ICU, 감염관리팀 | [CQI]중환자실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(MRAB) 감염관리 |
71, 91, 92, 102, 111, 121, 122, 251병동, 성형외과, 영양팀 | [CQI]욕창 발생 관리활동 |
외래간호과 | 안전의 첫걸음-정확한 환자확인 수행프로세스 개선 |
2017년 QI 활동
간호단위 | 과제명 |
---|---|
72, 신경과 | [CQI]뇌졸중 환자의 표준진료 지침적용과 개선 |
영양팀, 간호부, MG, GS, MH, OD, EN | [CQI]최상의 환자경험을 위한 암환자통합관리서비스 확대 |
수술실, 회복실 | [CQI]수술환자 경험관리를 위한 업무 개선활동 |
71, 신경외과 | 신경외과 입원 환자의 환자 경험 만족도 향상을 위한 활동 |
81, 82, 91, 102, 111, 112, 122병동 | 입원환자 경험을 기반으로한 병동환경개선활동 |
251, 252병동 | 창의적인 서비스를 통한 환자경험 만족도 향상 |
61, 62병동, 정형외과 | 정형외과 수술환자의 입원경험 만족도 향상활동 |
신생아중환자실, 소아청소년과 | 입퇴원 프로세스 개선을 통한보호자 만족도 증진활동 |
51, 52병동, 산부인과 | 환자경험을 통함 공감능력 증진 활동 |
261, 262병동, 혈액종양내과 | 암환자를 위한 건강다이어리 개발 및 맞춤형교육을 통한 NPS지수향상활동 |
재활치료팀, 101병동 | 재활치료팀 첫 방문 고객을 위한환경 개선 및 최상의 환자경험 |
92병동, 신장센터, 신장내과, 흉부외과, QI팀 | 낮 병동 입원환자 - 투석 혈관 관리 업무 프로세스 개선 |
소화기병센터, 232병동, 소화기내과 | 수익창출의 출발, 소화기병센터 업무프로세스 재설계(BPR,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) |
권역응급의료센터, 121병동, 응급ICU, 응급의학과 | 권역응급의료센터 중증응급환자 재실시간 단축!! |
권역응급의료센터, 121병동, 응급의학과 | 권역응급의료센터 중증응급환자 임상진료과 전문의 직접 진료율 향상을 위한개선활동 |
본관ICU, 별관ICU, 감염관리팀, 감염내과 | 중환자실 다제내성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(MRAB) 감염관리 |
외래간호과, QI팀 | 안전의 첫걸음-정확한 환자 확인 수행프로세스 개선 |
마취통증의학과, 회복실, 중환자실, 간호부, 약제팀, 의공관리팀, QI팀 | 의약품 label upgrade |
2016년 QI 활동
간호단위 | 과제명 |
---|---|
91병동, 92병동, 102병동, 121병동, 251병동, 252병동, 창상간호연구회 | 2차 욕창 발생 예방을 위한 피부보호 프로그램의 효과 |
신생아실, 신생아중환자실, 의공관리팀 | 환자안전을 위한 의료기기관리 시스템 구축 |
분만실, 51병동 | 안전한 유방관리를 위한 교육 시스템 구축 |
재활의학과, 재활치료팀, 101병동 | 병동과 소통하는 환자안전 manual |
소아청소년과, 52병동 | 안전하고 체계적인 소아 진정요법을 위한 프로토콜 개발 |
신장내과, 인공신장실 | 혈액투석 환자의 고인산혈증의 위험성인지와교육의 효과 |
마취통증의학과, 회복실 | 마취,회복 과정에서의 환자안전을 위한 Mute project |
71병동, 81병동, 82병동 | 척추 수술환자의 효율적인 관리 |
신경과, 72병동 | 뇌졸중 환자의 표준진료지침 개발과 적용 |
영양팀, 암환자 교육팀(전담영양사,전담간호사, 전담약사, 담당의), 262병동 | SCH 암환자 통합관리서비스 활성화 (부제: 치료돕는 암교육프로그램 및 암환자식 개발) |
원무팀, 111병동, 112병동, 121병동, 122병동, 진료협력센터 | 성공적인 Renovation을 위한 효율적인 병상운영 |
응급의료센터 | 소아 전담 전문의 진료 운영으로 인한 환자 만족도 상승과 수익 창출 |
간호부, 특수부서(DR,ER,ICU,ICU2), 병동(61, 62, 261) | 진료재료 활용방안을 통한 비용절감과 사용량 표준화향상활동 |
외래 간호과 | 외부 고객만족도 증대를 위한 설명 프로세스 개선 |
수술실 | 환자경험을 통한 수술실 서비스디자인 혁신 |
소화기병센터, 232병동 | 고객감동을 부르는 마케팅! 소화기병센터 "CEM 고객경험관리" - 고위험환자 관리 위주로(CEM: 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) |
2015년 QI 활동
간호단위 | 과제명 |
---|---|
수술실, 회복실, 이비인후과, 흉부외과 | 수술환자의 피부통합성 관리를 통한 욕창 예방활동 |
91, 92,121병동,약제팀 | 안전한 의약품 관리를 위한 업무개선 |
101병동, 재활치료팀, 이송팀 | 환자 이송방법의 효율적 개선 |
외과, 81, 82병동 | EMR CP적용과 업무 process 개선 효과 |
성형외과, 102, 71, 72 병동본ICU, 별ICU | 상처간호의 전문지식 습득 및 정보공유를 통한 욕창간호역량강화(CQI) |
마취통증의학과,회복실,국제의료협력팀 | 전신마취 대상 러시아 환자의 간호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구축 |
분만실,신생아실,국제의료협력팀 | 유기적 업무 연계를 통한 외국인 환자의 분만 프로세스 구축 |
251,252,261,보험팀,MG,MH | 내과에서의 암(위암,대장암)관련 적정성 평가 향상 방안 |
52병동, 소아청소년과 외래, 소아청소년과 | 소아청소년과 전화 상담 표준지침개발 |
소아청소년과, 신생아실 | 유기적인 업무연계를 통합 UP-GRADE NICU |
소화기병센터, 232병동, 원무팀 | Co-petition을 통한 부서간 업무효율화 증대 |
응급의학과, 응급의료센터 | 응급의료센터의 원무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업무효율성 증대 및 환자만족도 향상 |
111, 112병동, 호흡기알레르기내과,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외래, 진료의뢰센터, 폐기능 알레르기 검사실 | 천식 알레르기 환자를 위한 맞춤형 진료시스템 개발 |
61,62,101,122,262병동 | 시청각자료를 통한 병원생활 안내의 효과분석 |
산부인과, 51병동 | 부인암환자를 위한 자가관리교육 |
2014년 QI 활동
간호단위 | 과제명 |
---|---|
본관ICU, 별관ICU, 감염관리위원회 | [CQI]중환자실 감염감소를 위한 다각적 중재(bundle approach) 전략 |
원무팀, 간호부, 61, 62, 111,112, 261, 262병동, 사회사업팀, 진료협력센터, 기획팀, 기준정보 | [CQI]장기재원 환자 관리를 통한 적정병상 운영 |
응급실, 응급의학과,보험심사팀 | [CQI]응급의료센터 수가 누락 이렇게 하면 막을수 있다! |
소화기내과, 소화기병센터 | [CQI]치료내시경, CP개발을 통한 CRM |
심장내과, 121병동 | [CQI]심혈관 질환의 CP 시스템을 통한 중증도 환자관리 |
외래간호팀, 박성우, 변장열, 김보연, 서존, 김세형, 원무팀, 영상검사실 | [CQI]체감 대기시간 감소를 통한 고객만족도 향상 활동 |
52, 122, 232, 262병동, 인공신장실 | [CQI]투약오류 Zero에 도전한다 |
수술실 | 수술실 안전증진 강화활동 |
91, 92, 101,111, 251, 261병동, 감염관리팀 |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환자안전보장활동(환자확인, 손위생, 낙상을 중심으로) |
61, 62, 71, 112, 252병동, 간호부 | 체계적인 욕창관리를 통한 욕창 조기 발견 |
산부인과, 51병동 | 마더세이프를 위한 교육자료 개발 |
마취통증의학과 회복실 | 인수인계 방법 개선으로 업무의 정확성과 근무만족도를 높이자 |
신경과, 72병동 | 신경과 간호사의 뇌졸중 신경학적 사정도구(NIHSS) 적용 및 효과 |
분만실 | 고위험 임부 관리를 위한 전문인력 및 임부 교육 |
외과, 81, 82병동, 기획팀 | 위암 적정성 평가 향상 방안 |
신생아실, 소아청소년과 | 신생아집중치료실 병상가동률 100%에 도전한다 |
성형외과, 102병동, 응급실 | 화상 CP구축을 통한 만족도 향상 |
2013년 QI 활동
간호단위 | 과제명 |
---|---|
소화기병센터 | 치료내시경 CP 개발을 통한 CRM |
심장내과,121병동,본관ICU | 심혈관조영술 환자의 CP개발을 통한 고객만족도 향상활동 |
51병동, 분만실 | Hysterectomy CP 개발과 적용 |
91병동, 보험심사팀 | 이비인후과 수술의 CP 개발과 적용 |
수술실 | 확대 DRG에 따른 수술의 표준적정 진료를 위한 CP개발과 적용 |
81, 82병동 | 대장암 적정성 평가 향상 방안 |
51병동, 분만실 | 제왕절개 적정성 평가 관리를 통한 질 향상 |
71, 72병동 | 급성기 뇌졸중 적정성평가 질 향상 활동 |
251, 252, 92, 111 병동 |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낙상 예방 활동 |
52병동 | 효과적인 소아정맥 관리를 위한 개선활동 |
122, 232병동, 인공신장실 | 투약 오류 Zero에 도전한다. |
별관ICU, 본관ICU | 중증간호상황 Item 개발을 통한 환자안전보장 100%를 도전활동 |
신생아실 | NICU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간호사 교육자료 개발(CQI) |
응급실 | 응급의료센터 수가 누락 이렇게 하면 막을 수 있다! |
마취통증의학과 회복실 | 마취 처치재료 처방 누락을 제로화 하자. |
외래간호과 | 문자 서비스를 활용한 고객만족도 향상 방안 |
61, 62, 101, 102병동 | Happy rounding을 하자. |
112, 261, 262병동 | 힐링프로그램을 통해 행복한 일터를 만들자 |
81,82병동 | 일반 외과 병동 수술환자의 표준 진료 지침 적용 |
2012년 QI 활동
간호단위 | 과제명 |
---|---|
소화기병센터, 진료협력센터 | BSC 기법을 활용한 내시경 의뢰 검사 CP 개발과 적용 |
101,102,111,112,121병동, 외래 간호팀 | 입원 표준지침을 통한 One Stop 진료시스템 구축 |
응급의료센터 | 응급의료센터 내원고객에게 고품격 진료를 제공하기 위한 료지침 개발과 대기시간의 단축 |
수술실 | Time out 시점을 넓히자 |
외래 간호팀 | 외래환자 Ten(10%) Up에 도전하자 |
분만실 | 다문화 가정 임산부를 위한 출산준비 교실[CQI] |
외과, 81, 82병동 | 외과 병동 수술환자의 표준진료지침 적용 |
232, 251, 252병동 | 위·대장의 EMR, ESD CP개발과 적용 |
신생아실 | NICU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간호사 교육프로그램 개발 |
마취회복실 | 회복상태평가도구(PAR SCORE) 측정 시 알고리즘 구축 |
본관ICU, 별관ICU |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예방을 위한 Central Line Bundle 중재 강화활동 |
52,61,62,91,92,122병동,인공신장실 | 소음관련 내ㆍ외부 고객 만족도 증진을 위한 활동 |
71, 72병동 | 척추 수술환자의 CP 개발 및 임상 적용 |
261, 262병동 |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의 CP 개발 |
51병동 | 모유수유 표준지침 적용 및 효과 분석 |
2011년 QI 활동
간호단위 | 과제명 |
---|---|
소화기병센터, 232 병동 | BSC 기법을 활용한 낮 병동 운영의 CP 개발과 적용 |
81, 82병동 | 대장암 적정성 평가 향상 방안 |
외래 간호팀 | 예약부도율 관리를 통한 외래 활성화 방안 |
수술실 | 안전사고 사례분석을 통한 수술업무 프로세스 개선 |
분만실 | 다문화가정 산모를 위한 출산준비교실 |
응급실 | 응급실 고객 응대 서비스 개선과 업무개선을 통한 고객만족도 향상 |
간호부 교육위원회 | 멘토링을 통한 신규간호사 정착률 향상 활동(CQI) |
간호부 업무개선위원회 | 린넨 물류시스템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자 |
52병동 | 소아 청소년과 병동의 정맥주사 전담자 활동에 대한 연구 |
51병동 | 수술전·후 CP개발을 통한 업무개선과 환자만족도 향상 |
간호부 업무개선위원회 | 욕창관리 Process개발과 적용을 통한 욕창 예방 활동 |
92병동 | 환자의안정감증진을위한소음관리 |
마취회복실 | 부위마취를 시행하는 환자의 만족도를 증진시키자 |
2010년 QI 활동
간호단위 | 과제명 |
---|---|
외래간호팀 | 진료대기시간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|
간호부 물자관리위원회 | 절약하는 플러스 습관 -끄고 ,잠그고, 뽑고, 아끼자! |
신생아실 | 미숙아 퇴원 동영상 교육을 통한 보호자의 양육자신감 향상 |
수술실 | 외래를 통한 국소마취 수술환자 간호중재 CP개발과 적용 |
간호부 안전관리위원회 | 5S 통한 안전문화 정립과 환자 안전을 위한 개선활동 CQI |
61, 62병동 | 정형외과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지표 충족률 향상을 위한 활동 |
마취회복실 | 마취와 관련된 의무기록 전산화 활동 |
중환자실 | 중환자실 감염감소를 위한 다각적 중재(bundleapproach) 전략 |
92병동 | 시각적자료개발을통한수술환자의이해도증진 |
간호부 교육전산위원회 |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활용한 신규 간호사의 현장적응능력 향상활동 |
122 병동 | 간호업무분담체계 변화를 통한 업무개선 활동 |
소화기병센터 | 영상매체 개발을 통한 내시경 시술 고객의 만족도 증진 |
52병동 | 입원 후 대기시간 단축을 위한 활동이 고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|
81, 82병동 | 장루환자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환자 만족도 증진 |
간호부 업무개선위원회 | 검사,수술관련간호CP 개발을 통한 업무개선 활동(CQI) |
101,102병동 | Let's make happy workplace(H세대가 이끄는 행복세상) |
응급실 | 구급차 이송환자에 대한 구조사 응대의 효과 |
2009년 QI 활동
간호단위 | 과제명 |
---|---|
간호부 안전관리위원회 | 환자 안전을 위한 개선활동 |
신생아실 | 그람음성균주 분리율 감소를 위한 중재활동 |
외래간호팀 | 첫 방문고객의 마음을 움직여라. |
수술실 | 부천.,서울 수술실 워크샵을 통한 업무개선 활동 |
소화기병센터 | 검사예약 시스템 개발을 통한 업무효율 향상 |
분만실 | 제왕절개율을 낮추기 위한 지표관리 |
간호부 업무개선위원회 | 검사, 수술 관련 간호 CP 개발과 업무개선 효과 |
응급실 | 응급의료센터의무기록전산화 |
간호부 교육전산위원회 | 간호기록 충실도 100%에 도전한다. |
중앙공급실 | 멸균물품 공급체계 전산화 |
마취회복실 | 전신마취 대상 환자에게 수술 전 마취 정보를 제공하자 |
간호부 교육전산위원회 |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활용한 신규 간호사의 현장적응능력 향상활동 |
간호부 안전관리위원회 | 효율적인 물품관리를 통한 진료재료 절감 효과 |
중환자실(1.2) | 중환자실 요로카테터 관련 요로감염 감소전략 |
2008년 QI 활동
간호단위 | 과제명 |
---|---|
251, 252, 232 병동 | 퇴원 예고율 90% 향상을 위한 활동 |
수술실 | 가납 물품 관리체계 개선을 통한 수술실업무의 효율화 |
81,82,101,102,122병동 | 간호기록 충실도 100%에 도전한다. |
마취회복실 | 수술 후 발생되는 오심과 구토를 감소시키자 |
분만실, 51병동 | 지정헌혈을 활성화하여 혈액의 안정적인 확보 |
외래 간호팀 | 원외처방 오류발생을 줄이기 위한 개선활동 |
인공신장실 |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건강관리간호 프로그램개발 |
응급실 | 응급의료센터 의무기록 전산화 |
52병동 | 효율적인 입원생활 안내 프로그램 개발 |
신생아실 | 신생아중환자실 그람음성균주 분리율 감소를 위한 중재활동 |
91, 92, 121병동, 내시경실 | 버럭 간호사에서 방긋 간호사로 (응대서비스 강화활동) |
72,62,111,112병동, 공급실 | 효율적인 린넨물 관리를 통한 비용절감과 환자 만족도 향상 |
71 병동 | 뇌졸중 환자의 복부 경락 마사지를 통한 변비완화 효과 |
61병동 | 재활프로그램을 적용한 인공관절 치환술 환자의 효과비교분석 |
2007년 QI 활동
간호단위 | 과제명 |
---|---|
마취회복실 | 수술환자의 수술장내 대기시간을 단축시키자 |
52병동 | 소아병동에서의 정맥염 예방 활동 |
병동 간호팀 | 동영상을 활용한 간호활동 향상 |
신생아실, 분만실, 소아과 | 홈페이지를 통한 신생아 CRM의 구축과 유지 |
응급실, 외래, 진료의뢰센터 | 응급의료센터 신환의 외래 진료 연계 시스템 구축 |
외래 간호팀 | 외래환자 관리를 통한 병원이용률 증가(당뇨환자 관리) feed back |
92병동 | 지침서를 이용한 퇴원교육으로 자가관리 능력을 향상시키자. |
251, 251병동, 소화기병센터 | 치료내시경 시술에 대한 Best Practice |
중환자실(1.2) | 인공호흡기관련 폐렴 발생률 감소를 위한 개선활동 |
61병동, 62병동 | 임상질지표를 적용한 인공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효과 비교분석 |
72병동, 물리치료팀 | 화상환자의 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병원이미지 홍보 효과 |
수술실 | 계획되지 않은 재수술 관리를 통한 의료의 질 향상 |
102병동 | 뇌졸중환자의 조기 운동을 통한 환자 가치 혁신 |
121병동, 심혈관 조영실 | 심혈관조영술 환자의 불안감 감소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|
81병동, 82병동 | 수술 및 검사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한 개선활동(외과관련) |
232병동, 소화기병센터 | 낮병동 환자의 가치 혁신 |
인공신장실 | 투석 신환자의 효율적인 관리 |
91병동 | CP(비중격성형술 내시경비갑개절제술)적용과 효과분석 |
51병동, 신생아실, 분만실 | 조기 수유 시도로 모유수유 실천율을 높이자. |
122, 101, 71병동 | 위생 간호 수행률 향상을 위한 개선 활동(세발, 구강, 목욕) |
중앙공급실, 외래 간호팀 | 멸균 물품관리의 표준화 방안(외래 직원) |
111, 112병동 | 금연교육프로그램을 통해 환자, 보호자, 직원의 금연실천율 향상시키자. |
2006년 QI 활동
간호단위 | 과제명 |
---|---|
마취회복실, 수술실 | 수술 환자의 수술장내 대기시간을 단축시키자 |
수술실 | 수술 취소율을 낮추자 |
신생아실 | 홈페이지를 통한 신생아 CRM의 구축과 유지 |
수술실,마취과,내시경실,혈관조영실,101병동 | 처치, 재료대 전산 입력 누락 방지 활동 |
72,81병동, 중앙공급실, 인공신장실 | 재료비 절약의 활성화 및 의료인 교육을 통한 절약 방안 |
61,62병동 | 처치, 재료대와 약품의 삭감 방지 활동 |
82병동,방사선과,일반외과외래, 물리치료팀,영양팀 | 유방암 환자의 CP개발을 통한 적정진료의 체계화 |
중환자실 | 퇴실 후 2일이내 계획에 없던 재입실률 |
51병동 | TAH(Total abdominal hysterectomy) CP개발 |
91,92,121,122병동,적정병상운영위원회 | 퇴원예고의확산및정착화를위한방안 |
응급실,외래,진료의뢰센터 | 응급의료센터 내원 환자의 외래 진료 연계 시스템 구축 |
중앙공급실, 린넨실 | 효율적인 린넨류 관리를 통한 물량절감 |
51병동,52병동, 분만실,신생아실 | 옥외정원의 다각적 활용에 따른 차별화 방안 |
2005년 QI 활동
간호단위 | 과제명 |
---|---|
71, 72, 101, 102병동 | 간호기록의 표준화 |
61, 62, 81, 82병동 | 기본간호 수행률 향상으로 입원생활의 차별화 |
마취회복실 | 마취전 투약경로 Innovation - 근육주사에서 정맥주사로 |
92,111,112,122병동 | 병동 내 소음방지로 입원환경 차별화 |
중환자실 | 중환자실 간호업무 Innovation을 통한 외부고객만족도 향상 |
101병동 | 고객의 수면과 우울감소를 위한 적극적인 간호 개선활동 |
61, 62병동 | 수술전 금식으로 인한 고객불편감 개선활동 |
91, 121, 응급실 | Angio Catheter의 효율적사용으로 소모량 절감방안 |
간호팀, 병동, 신생아실 | 병원 차별화를 위한 퇴원환자 전화방문의 활성화 |
수술실 | Case Cart Delivery System을 통한 수술실 물품 공급체계의 Innovation |
51, 52, 분만, 신생아실 | 옥외정원의 다각적 활용에 따른 병원환경 차별화 방안 |
중앙공급실 | 린넨(베갯잇)의 효율적인 재고관리 |
2004년 QI 활동
간호단위 | 과제명 |
---|---|
52병동 | 소아통증,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개선방안 |
61병동, 62병동 | 관습적인 수술 전 금식지침의 개선 |
101,91,92병동 | 통증관리 표준화 활동을 통한 효율적인 암환자의 통증관리 |
마취회복실 | 환자의 정맥 통증 자가조절장치(PCA)에 대한 개념 재정립 |
111,112병동 | 업무개선을 통한 내부고객 만족도 향상 |
간호부 | OCS처방과 결과조회 프로그램의 개선활동 |
중환자실 | 물품과 의료기기 장비의 효율적인 관리 |
중앙공급실 | 효율적인 set 관리 |
외래간호팀 | 외래 신환의 서비스 증진 방안 |
수술실, 중앙공급실 | 수술실 간호사의 업무능률과 만족도 향상을 위한 공급체계 개선활동 |
분만실, 신생아실 | 정상 분만 후 조기 모유수유를 위한 개선활동 |
응급실 | triage 실행으로 인한 응급진료의 향상 |
81, 82 병동 | 수술 전 교육을 통한 수행정도 평가 |
121병동, 심혈관조영실 | 순환기 내과 간호업무의 향상을 위한 투약 매뉴얼 작성 |
인공신장실 | 심상요법이 혈액투석 환자의 우울, 불안에 미치는 영향 |
2003년 QI 활동
간호단위 | 과제명 |
---|---|
101병동 | 무균실 생활 안내문 개발 |
102병동 | 말기 신부전증 환자의 투석요법 시작 시 교육을 통한 환자의 만족도 증진 |
111.112병동 | 신규 간호사 병동 적응프로그램 개발 |
51병동 | 부인과 질환별 퇴원 지침서 개발 |
52병동 | Chest percussion이 호흡기 질환 환아의 재원기간에 미치는 영향 |
61병동 | 인공관절 환자의 수술에 대한 이해와 만족도 증대 |
62병동 | 세탁물의 효율적인 관리로 환자 만족도 증대 |
71병동 | 장기 환자가족들의 질적인 향상을 위한 교육지침서 개발 |
72병동 | 기흉환자를 위한 Critical Pathway개발 및 적용 |
81병동 | 친절표준화를 통한 서비스 향상 활동 |
82병동 | 청결한 병동관리를 위한 CQI활동 |
91병동 | 당뇨환자 자가 간호 인지도 개선방안 |
92병동 | Nebulizer(흡인) 환자의 실행도 파악을 통한 효과 증진 방안 |
간호팀 | 간호업무 표준화방안 (정맥주사 관리 개선방안) |
분만실 | 산전 교육방법 변화에 따른 분만 만족도 비교분석 |
수술실 | 수술시작시간 지연 요인 분석 |
신생아실 | 신생아 중환자실 퇴원교육 프로그램 개발 |
외래간호팀 | 당일 접수환자의 진료와 대기시간 개선 방안 |
응급실 | 응급의료 센터 내원환자들의 주요 불편사항을 어떻게 개선할까? |
인공신장실 | 외래 혈액 투석 환자의 올바른 복약지도 비교분석 |
중앙공급실 | 외래물품 교환시간의 효율화 |
중환자실 | 중환자실 환자 전동시 인수인계방법에 따른 간호업무의 효율증진 |
2002년 QI 활동
간호단위 | 과제명 |
---|---|
101병동 | 중심 정맥관 관리 개선 |
102병동 | 퇴원환자 교육 |
51병동 | 입원생활안내문 비치로 환자의 만족도 향상 |
52병동 | 소아환아의 말초정맥관 삽입술 및 LINE유지 개선활동 |
61병동 | 올바른 전화응대로 병원의 친절도 향상 |
62병동 | 수술 후 응급상황 대처능력 향상 |
71병동 | 병동 간호사의 친절이 고객에게 미치는 영향 |
72병동 | 수술환자의 수술 전 교육을 통한 환자의 만족도 증진 |
81병동 | 퇴원환자 설명강화를 위한 만족도 향상 방안 |
82병동 | 친절을 생활화하자 |
91병동 | 화장실 청결도가 주는 환자 만족도 및 병원 이미지 |
92병동 | 기관지 내시경 검사 전, 후 간호 |
마취과 | 마취 중 수혈의 적절성 |
분만실 | 분만전 산전교육을 통한 분만 만족도 향상 |
수술실 | 수술 후 환자감염을 줄이기 위한 소독청소관리 |
신생아실 | 신생아실 세탁물 관리 |
외래간호팀 | 외래 진료예약 고객님의 100% 내원에 도전하자!!! |
응급실 | 응급내원 환자의 대기시간 단축 |
인공신장실 | 불안감, 불만을 최소로 줄이자 |
중앙공급실 | 이불세탁간리 |
중환자실 | 중환자실 간호사 간호교육의 표준화 및 질적 향상 |
2001년 QI 활동
간호단위 | 과제명 |
---|---|
101병동 | 수혈사고 예방 및 수혈과정의 개선 |
102병동 | 정맥주사와 관련된 환자요구에 대한 응대 |
112병동 | 검사에 대한 정보제공으로 간호의 질 및 환자의 만족도 향상 |
51병동 | 퇴원전 산모교을 통한 산욕기 관리의 효율화 |
52병동 | 입퇴원 소요시간 단축 |
61병동 | 투약과 검사의 매뉴얼을 활용한 만족도 증진방안 |
62병동 | 투약오류를 최소화하여 신뢰받는 병동이 되자 |
71병동 | 간호사 인수인계 시간 단축 강화 활동 |
72병동 | Varicose Vein, Hyperhidrosis의 재원일수 단축방안 |
81병동 | 퇴원예고제 100%에 도전하자! |
82병동 | 일반외과 병동의 청결한 관리를 위한 CQI활동 |
91병동 | 소화기 질환자의 영양관리와 식욕증진을 위한 방안 |
92병동 | 호흡기 입원환자와 보호자들의 질환에 대한 이해력과 인지도 증진 |
분만실 | 세탁물 관리로 인하 세탁물량 절감 |
수술실 | 수술환자 보호자 대기실의 효과적인 운영 |
신생아실 | 신생아 중환자실 교차 감염을 최소로 줄이자 |
약제팀 | 정규 및 추가 마감(Confirm)전 약품 불출의 최소화 |
외래간호팀 | 외래 진료시간 지연요인에 대한 개선방안 |
외래간호팀 | 외래 처치료 및 특진료의 누락방지 개선안 |
응급실 | Fast Track을 이용한 응급실 진료시간 단축 |
인공신장실 | AVF Needling 실패율을 감소시키자 |
중앙공급실 | 소독용 E.O gas 비용절감 관리 |
중환자실 | 중환자실 내 호흡기 감염을 줄이기 위한 개선활동 |